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읽어보는 잡학지식

건강과 다이어트의 새로운 키워드 108배

by 모모파크 2019. 9. 28.
728x90

 

가끔은 도심주변의 산행이나, 둘레길을 돌면서 절을 많이 접한다.

특별히, 종교를 가지고 있는것은 없지만...

절에 들어서면 마음이 평온함을 느낀다.

 

불교에서 중생의 번뇌108가지로 분류했다는...

이 백팔번뇌의 산출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두 가지 설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고해서

지식을 찾아보니...

 

첫째는 눈·귀·코·혀·피부·뜻의 육근(六根)과 이 육근의 대상이 되는 색깔·소리·냄새·맛·감각·법(法)의 육진(六塵)이 서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갖가지 번뇌에 대한 산출법이다.

육근이 육진을 접촉할 때 각각 좋고[好], 나쁘고[惡], 좋지도 싫지도 않은[平等] 세 가지 인식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것이 곧 3×6=18의 십팔번뇌가 된다. 또, 이 호·오·평등에 의거하여 즐겁고 기쁜 마음이 생기거나[樂受], 괴롭고 언짢은 마음이 생기거나[苦受],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상태[捨受]가 생기기도 한다.

이 고·낙·사수의 삼수(三受)를 육근과 육진 관계에서 생겨나는 육식(六識)에 곱하면 역시 십팔번뇌가 성립된다. 이와 같은 36종의 번뇌에 전생·금생·내생의 3세를 곱하면 108이 되어 백팔번뇌의 실수를 얻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풀이이다.

두번째의 산출법은 보다 깊은 교리적인 해설이 요구된다. 이 산출법은 어떻게 수행을 해서 번뇌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것인가 하는 수행 실천의 문제를 잘 풀이해 주고 있다. 이것은 사고의 영역에 속하는 번뇌요, 실천의 영역에 속하는 번뇌를 근거로 하는 산출법이다.

곧, 견혹(見惑)인 88사(使) 번뇌와 수혹(修惑)인 10혹(惑) 번뇌에는 십전(十纏)의 번뇌를 더하여 얻는 백팔번뇌설이다. 견혹이란 사고·지식·인식 작용에 바탕을 둔 번뇌를 뜻한다.

여기서의 견(見)은 지혜로 얻은 지식 내용을 뜻하며, 혹은 번뇌의 다른 이름으로서 지혜로 제거할 수 있는 번뇌, 올바른 지혜를 가로막는 번뇌란 뜻으로 지어진 이름이다.

다시 말하면, 지금 가지고 있는 소견이 잘못된 것인 줄만 깨달으면 곧 없어지는 번뇌이며, 보기만 바로 보면 곧 해탈된다는 뜻을 가진 번뇌이므로 ‘견도소단혹(見道所斷惑)’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사혹은 정서적·의지적·충동적 번뇌로서, 그 번뇌의 성질이나 내용을 알았다고 해서 곧 바뀌어지지 않는 번뇌이다. 돈이나 명예나 이성에 대한 탐욕이 바람직하지 못한 줄도 알고 있고, 시기·질투가 나쁜 줄 알면서도 아는 것과는 달리 그러한 심리작용이나 습관이 일시에 제거되지 않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표면상으로는 견혹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반면, 사혹은 정신의 이면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내재하여 인간의 생을 이끌어가는 번뇌로서 좀처럼 끊어지지 않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거울의 때를 닦고 칼을 숫돌에 갈듯이 점차로 끊어야 한다는 뜻에서 사혹을 ‘수도소단혹(修道所斷惑)’이라고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이 견혹의 88가지에 사혹의 10가지를 합해 98가지가 되고, 여기에 탐심과 진심(瞋心)과 치심(癡心)의 근본 번뇌에서 일어나는 10가지 부수적인 번뇌를 더하여 백팔번뇌가 되는 것이다.

 

몇번을 읽어봐도 잘 모르겠다!! ㅠ.ㅠ

 

오늘 이야기 하고픈것은

108번 절을 하는 108배는 시간과 비용,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것이다!

요즘 종교를 불문하고 운동으로 절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한다

몸 건강은 물론 마음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절, 지금 당장 시작해보자.

불교에서 유래된 108배의 의미


대부분의 사람은 절은 꼭 108번을 해야 하나 하는 의문을 갖는다. 중요한 것은 절 운동을 통해 내 몸과 마음을 건강하고 평화롭게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실 절하는 횟수가 108배든, 107배든, 109배든 전혀 상관이 없다. 불교에서 행해지는 108배는 중생의 번뇌가 108가지라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불교에서 말하는 번뇌는 많이 잡으면 8만4000번뇌이고, 적게 잡으면 3독 등 다양하다.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108번뇌이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108배를 기본으로 하는 것. 종교적인 의미에서 절은 곧 하심(下心)이자 자신의 마음을 비우는 작업이다. 물건이 기울어져야 속에 든 것이 기울어지는 것처럼 몸을 낮추어 겸손한 자세를 갖추면 야만심, 자존심, 이기심, 선입관념, 고정관념을 쏟아낼 수 있다는 것.

시간과 공간에 구애 없이 할 수 있다
108배 운동은 언제 어디서든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대부분의 운동은 적잖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쉽게 실천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반면에 108배 운동은 방석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할 수 있다. 단, 집중도와 마음의 평정을 좀 더 쉽게 얻기 위해서라면 조용한 공간을 찾아 절을 하는 것이 좋다.

매일 아침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108배는 매일 아침에 일어나서 번뇌를 다스릴 수 있는 가장 좋은 수행법이다. 그래서 스님들은 항상 새벽에 일어나 몸을 깨끗이 하고 108배를 한다. 오전 6~7시 사이 규칙적으로 절하는 것이 좋다.

한 번에 많이 하는 것보다 조금씩 꾸준히 하는 것이 더 낫다
전문가들은 건강에 도움이 되려면 1주일에 3번 이상 땀을 촉촉하게 흘릴 정도로 운동을 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어떤 운동을 하든 꾸준히 지속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것은 시작하나 마나 한 것. 따라서 108배 운동도 무엇보다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부터 108배를 하는 것은 힘들다. 한 번에 많이 하고 지쳐서 그만두는 것보다 점차 횟수를 늘리며 꾸준히 하는 것이 더 낫다. 매일 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주기적으로 1주일에 3번 이상은 할 것이다.


「 효과 높이는 절하기 」

1. 절을 할 때는 최대한 힘을 빼서 몸을 가볍고 부드럽게 해야 한다. 그래야 동작 하나하나가 막힘이나 걸림이 없이 부드럽게 이어지고 몸의 기혈순환이 활발해진다.

2. 호흡이 가쁠 만큼 빠른 속도로 절을 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절 운동은 근력과 심폐 기능을 강화하는 단순한 신체 운동이 아니므로 빠르고 강하게 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오히려 각 신체 부위에 동작의 자극이 정확하게 전달되고 호흡이 깊어지도록 가능하면 동작을 천천히 그리고 차분하게 할수록 더 큰 운동 효과가 있다.

3. 절을 하면서 머릿속에 잡념이 떠오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억지로 잡념을 쫓으려고 애쓸 것이 아니라 호흡이나 동작, 신체 부위에 마음을 집중하면서 절을 하면 된다. 자신이 하는 각 동작을 머릿속으로 그려본다든지, 단전이나 발에 정신을 집중한다든지, 아니면 절하는 횟수에 집중한다든지 하면 저절로 잡념이 사라지며 정신이 안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절을 할 때는 반드시 방석이나 이불을 마련하여 무릎이 닿는 곳에 포개서 까는 것이 좋다. 딱딱한 맨바닥에서 절을 하다 보면 무릎을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아예 방석이나 이불 위에 올라서서 절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끄러질 수도 있거니와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5. 절을 마치고 난 뒤 바로 샤워를 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절 운동을 통해 몸속의 나쁜 기운이 배출되고 청정한 기운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물로 몸을 씻어내면 몸의 기운이 흐트러져 운동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이때는 가볍게 몸을 푼 후 따뜻한 차를 마시는 등 시간을 보내며 몸속에 형성된 기운을 갈무리한 뒤 몸을 씻는 것이 좋다.


「 올바른 절하기 운동 8단계 」

신선한 기를 받아들인다고 생각하면서 느리고 가늘게 코로 숨을 들이쉴 것. 얼굴에 가벼운 미소를 띈다
1. 양발을 어깨 너비의 반 정도로 벌리고 서서 합장을 한다. ※양팔은 겨드랑이에서 약간 떨어뜨린다.
2. 합장한 손을 아래로 내리며 양팔을 쭉 편 뒤, 양팔을 등 뒤로 크고 힘차게 돌려 머리 위로 올린다. ※손바닥은 펴서 앞을 향하고 양팔은 귀에 닿도록 곧게 편다.
3. 양팔을 원을 그리듯 크게 돌리며 앞으로 내리면서 상체를 숙여 몸이 ‘ㄱ’자 모양이 되게 한다.
4. 무릎을 굽히면서 양손을 앞으로 내밀어 바닥을 짚는다. 고개는 자연스럽게 숙인다.
5. 무릎을 꿇고 앉아 팔꿈치와 이마를 바닥에 댄다. 이때 발가락을 꺾은 채 발꿈치를 세우고, 이마는 머리카락이 바닥에 살짝 닿을 정도만 숙인다.
6. 바닥을 짚고 있는 양손을 뒤집어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하여 귀 높이까지 들어 올린다. ※손바닥을 뒤집어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은 불자들이 엎드려 부처님의 발을 받들던 행위에서 유래되었다. 이는 자신을 철저하게 낮추고 상대방을 최대한 공경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운동으로 절을 할 때 이 동작은 생략해도 된다.
7. 팔을 바닥에 붙이고 고개를 든다.
8. 상체를 완전히 일으켜 세우고 양손을 합장한 뒤 다리와 허리의 힘을 이용해 가볍게 일어난다. 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한다. 일어나는 순간 괄약근에 힘을 준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