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낙인효과 반대말1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는 "스티그마 효과" 스티그마 효과 [ Stigma effect ] 부정적으로 낙인찍히면 실제로 그 대상이 점점 더 나쁜 행태를 보이고, 또한 대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속되는 현상입니다. 심리학에서 인간의 일탈 행동 혹은 부적응 행동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스티그마 효과를 다른 말로는 ‘스티그마’는 빨갛게 달군 인두를 가축의 몸에 찍어 소유권을 표시하는 낙인을 가리킵니다. 그래서 스티그마 효과를 ‘낙인 효과’라고 한다. 하워드 S. 베커(Howard S. Becker)가 낙인 이론(Labelling theory)을 제창 베커는 1960년대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도시문제학 교수였습니다. 처음 범죄를 저지른 사람에게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으면 결국 스스로 범죄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재범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그의.. 2021. 3. 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