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의 기원(起原)
족보(族譜)는 다른말로 보첩(譜牒)이라고도 하며 그 효시는 중국의 6조(六朝) 시대에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이 처음이며, 우리나라는 고려 왕실의 계통을 기록한 것으로 18대왕 의종(毅宗)때
김관의가 지은 왕대종록(王代宗錄)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인 족보의 형태를 갖춘 것은 조선 성종(成宗)때(1476) 부터이며,
이때 안동권씨 성화보(安東權氏成化譜)가 처음 발간 되었다.
혈족(血族) 전부를 망라한 족보는 조선 명종(明宗)때
편찬된 문화유씨보(文化柳氏譜)로 알려졌으며 지금까지 전해온다.
보첩(譜牒)의 종류(種類)
분류 | 보첩(譜牒)의 종류(種類) | |||
대동보(大同譜) | 같은 시조(始祖)아래 중시조 마다 각각 다른 본관(本貫)을 가지고 있는 씨족간에 종합 편찬된 족보이다. 다시말해서 본관은 서로 다르지만, 시조가 같은 여러 종족이 함께 통합해서 편찬한 보책을 말한다. | |||
족보(族譜) | 관향(貫鄕)을 단위로 하여 같은 씨족의 세계(世系)를 수록한 보첩으로, 한 가문의 역사를 표시하고 한 씨족의 계통도와 사적(事蹟)을 기록한 보첩이다. | |||
세보(世譜) | 두 개파 이상의 종파가 합하여 합보로 편찬한 보첩이다. | |||
파보(派譜) |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어느 한 파(派)만의 계보와 사적(事蹟)을 기록하여 편찬한 보첩 |
|||
가승보(家乘譜) | 본인을 중심으로 시조로부터 시작하여 자기의 직계존속(直系尊屬 : 자기의 윗대)과, 비속(卑屬 : 자기의 아랫대)에 이르기까지 이름자와 사적(事蹟)을 기록한 것으로 보첩편찬의 기본이 되는 문헌이다. |
|||
계보(系譜) | 한 가문의 혈통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이름을 계통적으로 나타내는 도표로서, 한 씨족 전체가 수록되었거나 어느 한 부분이 수록된 것이다. |
|||
가첩(家牒) | 편찬된 내용이나 표현이 아니라 집안에 소장되어 있는 모든 보첩을 말한다. |
|||
만성보(萬姓譜) |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라고도 하며, 모든 성씨의 족보에서 큰 줄기를 추려 내어 집성(集成)한 책으로 족보의 사전(辭典) 구실을 하는 것이다. |
족보 용어
분류 | 용어 설명 | |||
시조(始祖) | 제일 처음의 선조로서 첫 번째 조상 |
|||
비조(鼻祖) | 비조는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先系祖上) 중 가장 높은 사람을 말한다. |
|||
중시조(中始祖) | 시조 이하에서,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으로서, 모든 종중(宗中)의 공론에 따라 추대된 조상 |
|||
세(世)와 대(代) | 시조를 1세(世)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세(世)라 하고,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대(代)로 하여 올라가며 계산하는 것을 대(代)라 한다. |
|||
자(字)와 호(號) | 시조를 1세(世)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세(世)라 하고,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대(代)로 하여 올라가며 계산하는 것을 대(代)라 한다. |
|||
함(銜)과 휘(諱) | 지금은 이름을 하나로 부르지만 옛날에는 여러 가지로 불렀는데, 어렸을 때 부르는 이름을 아명(兒名)이라 하고, 20세가 되어 성인이 되면 다시 관명(자)을 지어주었다. 호(號)는 낮은 사람이나 또는 허물없이 부르기 위하여 별도로 지어 불렀다. |
|||
함(銜)과 휘(諱) | 살아 계신 분의 이름을 높여서 부를 때 함자(銜字) 라고 하며 극존칭으로서 존함이라고 한다. 그리고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는 휘자(諱字)라고 하며, 여기에는 이름자 사이에 자(字)를 넣어서 부르거나 글자 뜻을 풀어서 말하는 것이 예의이다. |
|||
항렬(行列) |
항렬이란 같은 혈족사이에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의 법이며, ※ 십간(十干) 순으로 쓰는 경우 |
가스라이팅 유래ㆍ유형ㆍ학대방법
가스라이팅 [ Gas Lighting ]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로, <가스등(Gas Light)>(1938)이란 연극에서 유래한
momo-24.com
귀를 당기면 모든 질병이 사라진다
귀를 당기면 모든 질병이 사라진다 "하루 한번 귀 잡아당기면 나타나는 충격적인 변화" 이름난 장수촌의 장수 비결 가운데 하나가 매일 밤마다 귀를 비비고 빨갛게 되도록 자극한 뒤 잠
momo-24.com
소변만 보고도 병을 알아 내기
소변보고 병을 알아 내기 『동의보감』에서 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데는 세 가지 원인이 있다고 했습니다. 즉, 설사 후 진액이 적어질 때, 열이 하초에 몰릴 때, 비위 기능이 나쁠 때에 소변을
momo-24.com
왜 신체 특정 부위만 살이 찔까?
왜 신체 특정부위만 살이 찔까? 몸을 따뜻하게 해야 혈액순환이 잘 돼고 몸이 건강합니다.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두통, 수족 냉증, 손발 저림, 변비부터 성인병, 뇌혈관
momo-24.com
이팝나무와 조팝나무의 차이
이팝나무[Chinese Fringetree] 조팝나무[Bridal wreath] 차이 이팝나무[Chinese Fringetree]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 니팝나무·니암나무·뻣나무라고도 한다. 산골짜기나 들판에서 자
momo-24.com
'자기개발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보의 기원(起原)과 족보 용어 (0) | 2021.05.04 |
---|---|
정명가도 [ 征明假道 ]ㆍ임진왜란 [ 壬辰倭亂 ]ㆍ정유재란 [ 丁酉再亂 ] (0) | 2021.03.01 |
어우야담 [ 於于野譚 ] (0) | 2021.02.09 |
27명 왕이 승계하면서 519년간 존속해 온 "조선 왕조의 계보" (0) | 2021.01.19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된 " 팔만대장경ㆍ경판고" (0) | 2020.11.27 |
음탕한 여자의 이름 "어우동" (0) | 2020.11.26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