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한국사ㆍ세계사ㆍ토막상식

아름다운 미(美)의 대명사 "경국지미ㆍ경국지색"

by 모모파크 2020. 11. 25.
728x90
반응형
SMALL

 

  경국지미  

 

경국지미(傾國之美) 나라를 기울게 해 운명을 위태롭게 할 만큼 용모가 빼어난 절세의 미인을 말한다.

기울

나라

아름다울

나라를 기울게 해 운명을 위태롭게 할 만큼 용모가 빼어난 절세의 미인

 

경국지미(傾國之美)는 나라의 운명을 위태롭게 할만큼 뛰어난 미인을 말합니다.

 

아름다운 미(美)의 가치란

인간의 사회 속에서 그 논의 자체가 아름다운 미(美)라 할 정도로 오랜 세월 동안 이어 왔습니다.

 

 

특히 역사적 인물들 가운데 사회와 국가의 운명까지 좌우할 정도로

아름다운 여인들의 이야기들은  회자(膾炙)되어 왔습니다.

 

바로 이러한 여인들을 일컫는 고사가 경국지색(傾國之色)입니다.

나라{國}를 기울일{傾} 만한 여색{色}이라는 절세미인(絶世美人) 혹은 만고절색(萬古絶色)의 의미의

경국지색은 경국지미(傾國之美), 경성지미(傾城之美), 경국(傾國), 경색(傾色) 등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대다수의 미인들은 그 종말이 순탄하지 않은 인물들이 많았기 때문에

'미인박명(美人薄命)'이라는 고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기도 했습니다.

 

 


서양의 클레오파트라를 예로 많이 들지만

동양에서도 당현종(唐玄宗)의 양귀비(楊貴妃)한무제(漢武帝)의 계부인(季夫人),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의 우미인(虞美人), 오월(吳越) 와신상담(臥薪嘗膽) 서시(西施) 등 다수의 예를 들 수 있습니다.

 

뛰어난 힘과 권력을 지녔던 여걸(女傑) 같은 여인들은 또 다른 관점에서 논의되지만,

이번에는 여색(女色)으로 인해 나라의 운명까지 좌지우지(左之右之)한 경국지색의 

예로 이야기를 전개해 보겠습니다.

 

경국(傾國)의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사실 여인을 비유한 것이 아니라 남자를 표현한 것에서 시작됩니다.

 

 

궁중 음악을 관장하는 협률도위(協律都尉)의 벼슬을 하고 있던 이연년(李延年)이

당시 황제인 무제(武帝)에게 바친 노래에 경국(傾國)의 표현이 보이는데,

바로 이 경국의 여인은 자신의 누이였고, 그 누이가 한무제의 총애를 받는 계부인(季夫人)이 된 것입니다. 

 

'북녁에 가인이 있어 세상에 견줄 바 없이 으뜸이라네.

그의 눈짓 하나에 성이 기울고 두 번째 눈길에는 나라도 기운다네.

어찌 성과 나라를 저버리랴만, 가인은 다시금 얻지 못하리' 

 

 

 

한무제의 총애를 받아, 모든것을 누리다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무제는 한참을 잊지 못하고, 생을 걷잡지 못하였다고 전해집니다. 

 

이어, 당나라에 들어와 많은 문인들의 작품 속에 미인의 대명사격으로 경국의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특히 이백(李白)이나 백낙천(白樂天)의 시에 등장하는 양귀비(楊貴妃)를 비유한 경국지색의 표현은

후에 전형이 되기에 충분한 것들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